top of page

질본·산부인과학회 '지카바이러스' 공동 대응

작성자 사진: 메디컬포커스메디컬포커스

여성·임신부 지카바이러스 감염 진료 가이드라인 배포


갈수록 전파 지역이 늘어나 전 세계를 긴장시키고 있는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국내 유입과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당국과 의학계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와 대한산부인과학회(이사장 배덕수)는 여성, 특히 임신부 지카바이러스 감염 진료 가이드라인 제작·배포하고 앞으로 지카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공조하기로 했다고 3일 질병관리본부가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임신 중 지카바이러스 감염과 태아의 선천성 이상, 특히 소두증 발생과의 관련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현재까지 밝혀진 결과들을 근거로 일선 산부인과에서 임신부와 가임기 여성들의 지카바이러스 관련 진료·상담을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민과 관이 협력해 '임신부와 가임여성을 위한 진료 가이드라인'을 함께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가임기 여성이 유행지역을 여행한 경우 임신은 한 달 정도의 유예기간을 두는 것이 안전하며, 지카바이러스는 감염자의 혈액 속에 약 1주일 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과거의 지카바이러스 감염이 추후 임신 시 태아의 소두증 등 선천성 기형을 유발하지는 않다

임신부의 경우는 지카바이러스 유행지역 여행한 임신부가 2주내 증상이 있는 경우 임신부 혈액으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사, 양성인 경우 태아초음파(소두증 또는 뇌내 석회화 여부확인) 등을 시행해야 한다.

지카바이러스 유행지역 여행한 임신부가 2주내 증상이 없는 경우, 혈청 검사는 권고 되지 않으나 태아초음파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임신부 바이러스검사 및 양수검사 실시해야 한다.

한편 대한산부인과학회는 해당 지침을 회원들에게 적극 홍보하고, 이 지침을 기본으로 해 임신부 등 여성들이 지카바이러스에 대해 염려하는 부분들에 대해 질병관리본부와 협력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보완해 나갈 계획이며, 질병관리본부는 임신부에 대한 지카바이러스 관련 홍보물을 제작해 계획이다.

댓글 0개

Bình luận


(주)투에이취에프

제호 : 메디컬포커스

발행인 : 유승모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22길 12, 2층 (삼성동, 부흥빌딩)

전화 : 02-701-9800

등록번호 : 서울 아01261

등록일 : 2010년 6월 3일

편집인 : 김경진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성철

발행일 : 2014년 4월 10일

Copyright ⓒ 2021 메디컬포커스

​(주)투에이취에프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 복사 · 배포 등을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