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장에 대한의학회 이윤성 회장...세부분야별 실무 작업반 운영
메르스가 우리 사회에 던진 ‘의료관련감염’ 예방 및 관리강화를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모인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의료관련감염대책 협의체’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의료관련감염대책 협의체(이하 협의체)’는 환자단체, 소비자단체, 전문학회·기관, 의료단체, 언론, 복지부로 구성했다.
협의체위원장은 대한의학회 이윤성 회장이 맡아 감염예방을 위한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개선작업을 진두지휘하고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 후속조치로서 각계 전문가의 전문적인 논의와 현장의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의료관련감염대책의 구체적인 세부실행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응급실, 간병·병문안 및 의료전달체계 등 감염관리와 관련된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의 개선을 위해 환자, 시민사회, 의료계, 정부의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현장에서 신속하게 실행 가능한 방안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강화를 위해서는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다양한 과제에 대한 검토·개선·실천을위해 전문인력 확충, 평가 및 보상, 음압격리병상 확충, 4인실 중심으로 입원실 개편, 간병·병문안 문화개선, 응급실, 의료전달체계 같은 세부 분야별로 복지부 담당부서와 전문가로 구성된 ‘실무 작업반’을 운영한다.
‘실무 작업반’은 다수의 과제별로 현장 실태파악, 의견수렴 등을 거쳐 세부 실행계획(안)을 마련하는 일을 맡게 된다.
각 작업반에서 마련한 세부 실행계획(안)은 협의체에서 논의해 폭넓게 검토, 실행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협의체에서는 각 과제를 시급성과 중요성을 고려해 추진시기를 긴급-단기-중장기로 구분하고, 병문안문화 개선, 응급실 감염관리 강화 등 당장 시급한 과제부터 우선적으로 논의해 순차적으로 발표하고 실행할 계획이다.
그리고 의료전달체계 개선 등 시간을 가지고 큰 그림을 그리면서 심층적으로 검토할 과제는 방향 설정과 공감대를 형성한 후 추진과제 구성 및 추가 논의방안 마련 등을 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협의체가 올해 말까지 1단계로 운영하고 2016년 이후에는 중장기 과제에 대한 별도의 논의기구를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전했다.
다만, 2016년에 정기적으로 협의체에서 마련한 과제의 실행상황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역할은 동 협의체가 계속 수행할 계획이다.
한편, 제1차 협의체 회의는 복지부 정진엽 장관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10월 1일 개최됐다.
정진엽 장관은 “보건복지부는 감염예방과 환자안전을 최우선가치로 보건의료체계 및 의료이용문화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둘 계획이며, 의료전달체계 확립 등 보건의료의 바람직한 미래비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해 의지를 밝혔다.
이어서 “환자, 소비자,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늘 경청하고 현장과의 소통을 통해 보건의료정책을 수행하겠다”고 하였다.
Comments